※ 모바일에서는 표를 좌우로 이동시키며 확인바랍니다.
프로그램 | 대상 | 내용 | 일시 | 이용료 | 담당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조사 연구 분석 | 사회복지예산분석 | 지역사회, 유관 종사자 | - 사회복지(장애인)분야의 복지 예산의 흐름을 분석하여예산편성의 투명성 및 복지사업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예산보고서 발행 및 정보 제공 | 연중 | - | 기획 홍보팀 |
복지관 통합이용현황 분석 /애뉴얼보고서 작성 | - 7개 장애인복지관 이용자현황 분석
- 17년 복지관 사업분석 |
연 1회 | ||||
복지관 거시환경(PEST)분석 | - 정치적,경제적,사회적,기술적환경 분석 | 연 1회 | ||||
5차 장애인정책 종합계획 검토 | - 종합계획과 복지관 사업을 비교분석하여 중점 사업 추진 | 연 1회 | ||||
복지관 2022중장기계획 실천과제 점검지표 개발 | - 실천 과제별 성과(산출)지표를 개발하여 사업평가 시 반영 | 연 1회 | ||||
복지관 이용자 모니터링 분석 (욕구 및 만족도) | 이용 장애인 및 보호자 | - 복지관 사업에 대한 욕구 및 만족도 파악,의견수렴 | 연중 | |||
조사연구 성과발표 | 지역사회, 유관 종사자 | - 연간 조사연구사업의 성과를 살펴보고 이후 과제를 점검 | 12월 | |||
직원역량강화 | 관내교육 | 복지관 종사자 | - 직무역량강화 교육과 법정의무교육 실시 | 연 12회 | ||
관외교육 | - 종사자의 직무역량 강화 교육 및 전문자격 습득을 위한보수교육, 직무교육 실시 | 연중 | ||||
직원 스터디 | - 직무 관련 종사자의 역량을강화하는 업무능률개선 스터디 실시 | 연중 | ||||
종사자 역량강화 교육 | - 주요 장애계 이슈와 흐름을 7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와함께 공유하여 이용장애인에게 최신정보를 전달하는 창구로 활용 | 연 1회 | ||||
신입직원 교육 | - 신입직원 기본 복지관 직무교육 실시 | 연중 | ||||
직원연수 | - 긍정적 소통문화 확산을 위한조직화합 워크숍 개최 | 연 1회 | ||||
종사자 체육대회 | 광주지역 장애인복지관 종사자 | - 상호유대와 친선 프로그램 실시 | 연 1회 | |||
사회복지현장실습 | 사회복지관련 대학(원)생 | - 사회복지실습생의 장애인복지 현장실천기술 습득과 사회복지사로서의 전문직 정체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다양한 현장체험 및 기술 습득기회 제공 | 연 2회 (1월,7월) | 70,000원/명 | ||
홍보 | 온라인소통 | 지역사회, 유관 종사자 | - 홈페이지 및 페이스북 홍보 | 연중 | 무료 | |
오프라인소통 | - 홍보문 및 현수막 게시,언론홍보 | |||||
홍보물제작 | - 복지관 리플렛,기념품 등 제작 | 연2~3회 | ||||
관보발행 | - 복지관 사업,재활정보,후원·자원봉사자 안내 등의 내용을 담아 소식지 발행 | 연중 | ||||
기관견학 | - 2018년 복지관 사업 및 이용안내 | |||||
주간사업안내 | - 복지관 사업소개,라운딩,질의응답 등 | 주 1회 (매주 월요일) | ||||
우리동네 장애인계 소식나눔 | - 지역 장애인계의 행사나 각종 재활정보 소식을 모아 SNS와 모바일 메시지로 전달 | |||||
이용자 간담회 | 이용장애인 및 보호자 | - 복지관 정책과 운영현황을 안내하고,이용자들의 욕구 와의견을 수렴하여 기관 운영에 반영 | 연4회(분기별) | 무료 | ||
이용자 대표모임 “디딤돌” | 이용장애인 대표 | - 복지관 사업추진에 대한 이용장애인의 의견을 수렴 하고사업진행방향을 함께 계획하여 사업추진 | 연2회(상·하반기) | |||
사랑의식당 | 이용장애인 및 보호자 | - 중식제공을 위한 식당 운영 - 개방시간(11:30- 13:00) | 월~금요일 | 1,000원/매 | 운영 지원팀 | |
이용료 수납 및 증명서 발급 | - 프로그램 이용료 수납,각종 증명서 발급 등 | 연중 | 무료 |